도지코인 채굴하기
이제 그래픽 카드 메모리가 모자라서 이더리움 채굴은 그만뒀다. 그래픽 카드가 비싸져서 새로 사서 다시 시작하는 것도 수지타산이 안 맞다. 그래서 도지코인 채굴은 어떻게 할까 검색을 해 봤다.
1 리눅스에서 채굴하기
대충 cgminer v3.7.2로 Zergpool 풀에서 채굴하는 게 좋을 것 같다.
git clone git@github.com:ckolivas/cgminer.git
cd cgminer
git checkout -b scrypt v3.7.2
./autogen.sh --enable-scrypt --enable-opencl
make
# m=solo 또는 m=party를 지정하지 않으면 regular 채굴이라는데 이게 뭘까?
# 아무튼 다음 명령줄은 도지코인을 채굴(mc=DOGE)해서 도지코인으로 지불(c=DOGE)한다.
# 채굴을 시작하지도 못 하는 것 같다.
./cgminer --scrypt -o stratum+tcp://scrypt.na.mine.zergpool.com:3433 \
-u WALLET_ADDRESS -p c=DOGE,mc=DOGE,ID=WORKER_ID
# 다음 명령줄은 제일 이윤이 높은 코인을 파티 채굴(m=party)해서 도지코인으로 지불한다.
# 뭔가를 하는 것 같다.
./cgminer --scrypt -o stratum+tcp://scrypt.na.mine.zergpool.com:3433 \
-u WALLET_ADDRESS -p c=DOGE,m=party.NPlusMiner,ID=WORKER_ID
그러나 https://zergpool.com/에 가 보면 scrypt 알고리듬은 GPU 채굴을 지원하지 않는다. 어차피 도지코인을 직접 채굴하는 방식이 아니고 다른 코인을 채굴한 다음 지분을 도지코인으로 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GPU를 지원하는 다른 알고리듬으로 채굴해도 괜찮다. 그래서 neoscrypt 알고리듬으로 GPU 채굴을 지원하는 nsgminer를 컴파일해서 다음과 같이 실행했다.
git clone git@github.com:ghostlander/nsgminer.git
cd nsgminer
./autogen.sh
make
./nsgminer --neoscrypt -o stratum+tcp://neoscrypt.na.mine.zergpool.com:4233 \
-u WALLET_ADDRESS -p c=DOGE,m=party.NPlusMiner,ID=WORKER_ID --temp-cutoff 95
이상하게도 https://zergpool.com/을 아무리 살펴 봐도 특정 파티의 이름을 찾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냥 아래 윈도 채굴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사용하는 NPlusMiner를 썼다.
그리고 만약 솔로 채굴을 한다면 왜 이렇게 풀 주소가 필요할까? 이더리움 채굴의 경우 풀 주소를 이용해서 함께 채굴을 했었는데 이번에는 풀과 파티라는 개념이 별도로 존재한다. 솔로 채굴에서의 풀의 역할은 뭘까?
2 윈도에서 채굴하기
- NPlusMiner ZergPool Edition의 압축을 푼다.
- NPlusMiner를 실행한다.
- Wallet Address를 설정한다.
- Config에서 Worker Name을 원하는 대로 바꾼다.
- Location은 북미를 뜻하는 NA로 설정한다.
- 기본적으로 CPU와 GPU 모두 선택되어 있는데 컴퓨터가 너무 열심히 일하는 것 같아서 CPU는 해제했다.
- Earnings Tracker Log를 선택한다.
- Hide Console을 해제한다.
- Save Config
- Start
모든 채굴기가 잘 돌아 가지는 않았다. NBMiner가 돌아 가긴 한다.
NPlusMiner\Bin\NVIDIA-NBMiner\nbminer.exe -a kawpow -o stratum+tcp://kawpow.na.mine.zergpool.com:3638 \
-u WALLET_ADDRESS -p c=DOGE,m=party.NPlusMiner,mc=RVN,ID=WORKER_ID \
--api 127.0.0.1:4069 --no-watchdog --temperature-limit 95 -d 0
그런데 효율이 많이 낮은 것 같다. 그래서 nsgminer의 윈도 배포본을 쓰기로 했다. 리눅스 채굴기와 같은 프로그램이니 같은 설정을 그대로 쓸 수 있다.